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. 정치부 최선 기자 나와 있습니다. 첫 번째 주제, '세금 전쟁', 여야가 세금 관련 공약으로 표심 잡기 경쟁에 나선 모양이죠. <br><br>먼저, 더불어민주당 쪽에서 연간 5천만 원 이하를 버는 20대 직장인이나 사업자에게 소득세를 걷지 말자는 구상이 나왔는데요. <br><br>아직 공약으로 논의되지 않은 민주당 선대위 청년본부의 아이디어 중 하나입니다.<br><br>청년본부장을 맡고 있는 장경태 의원은 채널A와 통화에서 "다른 세대는 가구소득이 늘어도 20대는 제자리였다. 자산 증가율도 가장 낮다"며 제안 취지를 설명했습니다.<br><br>Q. 청년 민심을 고려한 취지는 알겠는데, 5천만 원을 넘게 버는 20대나, 막 30세가 된 청년은 좀 억울하지 않을까 싶은데요.<br> <br>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그 부분을 지적했습니다. <br><br>이 대표는 "아무 공약 대잔치를 시작했다"며 "소득세가 없다가 갑자기 30세가 되면 징세하는게 무슨 형태의 공정이냐"고 했습니다.<br> <br>[이준석 / 국민의힘 대표] <br>"선거 때마다 그런 어떤 당의 공조직이지만 실제 필터링되지 않은 의견들이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. 제어가능한 수준의 선대위를 구성해야 하는 이유고…" <br> <br>민주당 전용기 의원은 "일부 제안을 공약이라 일단 공격한다"며 "아무말 대잔치를 하는 건 이 대표 본인"이라고 맞받았습니다. <br><br>Q.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종합부동산세 폐지 가능성을 시사했죠. <br><br>22일에 종부세 고지서가 발송되죠. <br> <br>윤석열 후보가 고지서 발송을 앞두고 "대통령이 되면 종부세를 전면 재검토하겠다"고 화두를 던진 겁니다. <br><br>윤 후보는 "중장기적으로 종부세를 아예 재산세에 통합하거나 1주택자에게는 면제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"면서 "내년 이 맘 때는 더 이상 종부세 폭탄을 걱정 안해도 되게 하겠다"고 했는데요.<br><br>민주당 신동근 의원은 "윤 후보가 꿈꾸는 나라가 고작 부동산 부자들의 천국이냐"고 즉각 비판했습니다.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'부산은 재미없다?' 전국순회에 나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부산을 찾아서 한 말이 논란이 되고 있죠?<br> <br>부산 지역 스타트업 기업인들을 만난 자리에서 나온 발언인데요. <br> <br>직접 들어보시죠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어제)] <br>부산 재미없잖아, 솔직히. 재밌는데 예를 들면 강남 같지가 않은 측면이 있는 거예요. 젊은이들은 똑같은 조건이면 서울로 오고 싶어 해요. <br><br>Q. '재미없다'는 의미를 바로 설명하긴 했는데 국민의힘에서는 비판을 쏟아냈죠?<br><br>네. 부산이 지역구인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은 SNS에 “부산이 우습게 보이느냐”고 했고, 박형준 부산시장도 “부산에 표 달라고 온 분이 부산이 재미없다 해서 놀랐다”고 썼습니다.<br> <br>당도 잇따라 논평을 냈는데요. <br><br>"민주당의 지역 비하 DNA를 계승하려는 것이냐"며 과거 발언들을 소환했고, 부산 시민들에게 사죄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.<br><br>정의당도 "강남을 들어 비교한 건 비수도권 지역 모두를 비하한 것"이라며 이 후보에게 사과를 요구했습니다. <br><br>Q. 민주당은 대화의 맥락을 무시한 왜곡이다, 이렇게 반발했어요. 어떻게 이 후보의 발언이 나온 건가요?<br> <br>앞뒤 맥락을 보면요. <br> <br>이 후보는 인재 유출을 막는 해법으로 지역 균형발전을 강조하면서 지금보다 매력있는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 이런 취지로 말한 걸로 보입니다. <br><br>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(어제) <br>(서울) 그보다 더 나은 환경을 만들어야 돼요. 그래서 부산을 매력을 계속 키운다. 부산의 문화나 관광 자원이라든지 이런 게 상당히 우수하잖아요? <br><br>민주당은 부산 지역구 의원의 78%가 국민의힘 소속인 것을 거론하며 "국민의힘은 부산 발전에 가장 책임이 큰 정당 아니냐"고 역공을 폈습니다.<br> <br>국민들은 여야가 말꼬리 잡기식 공방에서 벗어나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약속부터 지켜주길 바라지 않을까요?<br><br>Q. 대선 국면에서는 말 한마디가 갖는 파급력이 크다 보니까 공방이 더 잦아지는 것 같습니다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